분류 전체보기
-
개인심리학과 경험심리학, 계량(측정)심리학카테고리 없음 2024. 4. 23. 23:03
개인심리학은 개체의 차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심리학으로서 개체심리학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러한 의미에서는 차이심리학과 거의 같지만 차이심리학은 개체의 차·성차·민족차 등 여러 형태의 차이를 광범위하게 취급하는 데 비해 개인심리학은 사회와 집단을 취급하는 사회심리학이나 집단심리학과 달리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심리학을 말합니다. 이 밖에 특수한 의미에서는 정신분석학파 A. 아들러가 제창한 심리학을 뜻하기도 합니다. 그는 개인의 독자적 전체성을 강조, 우월에 대한 욕구를 인간을 움직이 는 최대의 동기로 보았습니다. 경제심리학은 응용심리학의 한 분야로 경제생활을 중심으로 인간의 생활형태 또는 태도를 경제학적 관점에서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20세기 초에 H. 뮌스터베르크 등이 생각했던 정신공학의 일환으로서의 경제심..
-
방어기제의 주요 유형들과 각각의 특징카테고리 없음 2024. 4. 23. 00:55
불안은 자아에게 닥친 위험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불안은 세 가지 자아 간의 갈등으로 끊임없이 야기됩니다. 자아는 충동적으로 쾌락을 추구하는 원초아와 완벽성을 추구하는 초자아와의 갈등을 감소시키려고 노력합니다. Freud는 모든 행동이 본능에 의해 동기화되는 것처럼 역시 불안을 피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방어적이라고 보았습니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불안을 원치 않으며 불안으로부터 벗어나기를 원합니다. 따라서 인간은 갈등에서 비롯된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방어기 제기를 사용합니다. 방어기제는 고통에서 우리를 보호한다는 점에서 유용한 목적에 기여하지만, 그것이 무분별하고, 충동적으로 사용될 때에는 병리적이 됩니다. 다양한 방어기제가 작동되는 구체적 내용은 서로 다르지만 공통적인 두 가지 특성을 지..
-
심리학의 여러 유형 : 동물, 아동, 청년 및 노인카테고리 없음 2024. 4. 22. 23:54
동물심리학은 비교심리학(성인의 심리와, 이상자, 범죄자, 아동, 청년, 노인 또는 동물의 심리를 비교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생물발달의 단계에 따라 각 동물의 행동성능을 알고 동물을 이해하며 발달심리학적 지식을 얻으려는 연구와 인간연구의 보조로서 인간 대용으로 동물을 실험의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두 방향으로 크게 나누어집니다. 전자의 경우에는 동물의 생태학적 연구와 제휴하여 본능적 행동을 연구하고 혹은 인공사육의 동물은 특수 환경과 자극 속에 두고 행동의 변용을 조사하는 일 등이 행해지며 후자의 경우에는 뇌 각부의 절제나 전기 자극에 의한 뇌기능의 고찰 학습실험 등에 크게 공헌하였습니다. 아동심리학(유아, 학동의 각 발달단계에서의 아동심성의 연구는 발달심리학으로서도 중요하고, 또한 교육상의 필요에서도 그 ..
-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방법 : 심상과 반복카테고리 없음 2024. 4. 22. 00:53
기억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으로 심상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심상을 이용하는 것은 기억을 촉진시킵니다. 심상이란 마음속으로 어떤 개념을 시각화하는 것을 말합니다. 사람들의 심상을 이끌어내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는 그림과 같은 시각적 자극을 이용하는 방법과 구체적 정보와 같은 언어적 자극을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사람들이 기억해야 할 정보를 마음속으로 시각화하도록 하는 심상지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심상지시 방법은 사람들로 하여금 상상을 통하여 마음속에 어떤 장면을 시각화하도록 하는 기법입니다. Paivio의 이중부호화이론에 의하면, 그림과 같은 시각적 자극은 기억 속에 저장될 때 언어적 형태와 시각적 형태가 함께 저장되지만 구체적 단어와 같은 언어적 자극은 주로 언어적 형태의 정..
-
공간지각과 운동지각에 대한 특성 정리카테고리 없음 2024. 4. 21. 23:47
안구운동단서는 공간지각에 있어서 안구가 근육운동을 하는 것으로부터 거리나 깊이지각에 대 한단서를 얻을 수 있는데 이를 안구운동단서라 하며, 조절과 수렴이 있습니다. 조절은 물체의 거리에 따라서 수정체의 두께가 자동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말하는데 수정체가 두꺼워질수록 물체가 가까이 있는 것으로 지각하게 됩니다. 수렴은 물체의 거리에 따라 서 두 안구가 좌우로 위치를 변화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시각단서에는 한쪽 눈을 사용할 때 가용할 수 있는 단안단서와 양쪽 눈을 모두 사용할 때 가용할 수 있는 양안단서로 구분이 됩니다. 단안단서에는 중첩, 크기, 원근화법 및 운동시차가 있으며, 양안단서에는 양안부 등이 있습니다. 원근법은 표면이나 사물의 외양이 관찰자로부터 멀리 떨어짐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원..
-
성격장애에 대한 연구의 역사카테고리 없음 2024. 4. 21. 00:51
성격장애에 대한 연구는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 교수인 데어도어 밀론 교수의 성격장애 분류가 1980년에 채택되면서 그의 분류가 일부 수정을 거쳐서 1980년 DSM-III에 그대로 실렸다가 이후에 일부가 수정되었습니다. 성격이라는 용어는 영어로 personality이고 인격이라는 용어는 영어로 character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둘 다 성격의 의미를 담고 있으나 이 두 용어의 사용은 계통을 달리해서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Personality라는 말은 그리스어의 persona에서 온 말로서 무대에서 배우가 가면을 쓰고 공연을 하는 것에서 유래된 말로서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는 '공적인 나'라는 말로서 사용됩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 앞에 나가서 보이는 '공적인 나'는 개인적인 '사적인 나', '개인적..
-
성격발달이론 중 본능이론에 대한 설명카테고리 없음 2024. 4. 20. 23:35
성적 본능, 즉, Freud의 성격이론은 성격의 주요한 추진력을 추동 혹은 충동으로 보는 본능이론입니다. 본능은 성격의 기본적 요소이며, 행동을 추진하고 방향 짓는 동기입니다. Freud는 본능을 에너지의 형태로 보았으며 이러한 에너지가 신체적 욕구와 정신의 소망을 연결한다고 보았습니다. 프로이드는 본능을 두 가지 범주인 life instincts와 death instincts로 구분하였습니다. Life instincts는 인간의 생존을 위해 식욕, 성욕 등과 같은 생물학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기여하며 성장과 발달 지향적입니다. 프로이드는 본능의 에너지를 libido라고 하였습니다. 이러한 정신에너지인 리비도가 어떤 한 가지 대상이나 사람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것을 리비도의 집중이라고 합니다. 프로이드가..
-
사람의 성격에 대한 어원과 정의 및 분류카테고리 없음 2024. 4. 20. 00:48
사람의 성격에 대한 연구는 그리스 시대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사람의 성격, 인품, 인격, 인성 등의 표현으로 쓰이는 용어로 personality가 있습니다. 이 용어의 어원인 persona는 그리스어로 배우가 무대에서 쓰던 가면을 말합니다. 가면 뒤에 감추어진 실질적인 모습보다도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모습을 말합니다. 역사적으로 보아서 이 용어의 의미는 외형적 의미에서 점차로 내면적 특질로 바뀌어 왔습니다. 한편, 정신분석학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character라는 용어 역시 성격, 인격, 인품, 인성의 뜻으로 최근까지 많이 사용되어 왔습니다. 이 용어의 그리스 어원은 '판에 박다', '판에 새기다'의 뜻으로 그 사람의 마크 혹은 표시로 그 사람을 구분하는 특징으로 쓰입니다. 최근에 미국의 정신의학회에서..